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새, Birds of Korea/매 목56

털발말똥가리(Rough-legged Buzzard )-아종 캄챠카털발말똥가리 2014년 12월 30일 경기도 화성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크기는 52cm~61cm이며 겨울새입니다. 시베리아 북부에서 번식하며 한국, 중국, 일본등지에서 겨울을 납니다. 오늘 가깝게 만난 털발말똥가리, 멀리서 부터 흰빛이 많이나서 눈에 잘 띕니다. 꼬리의 다이아몬드무늬가 특히 아름답.. 2014. 12. 30.
털발말똥가리(Rough-legged Buzzard )-아종 캄챠카털발말똥가리 2014년 12월 28일 경기도 화성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크기는 52cm~61cm이며 겨울새입니다. 시베리아 북부에서 번식하며 한국, 중국, 일본등지에서 겨울을 납니다. 2014. 12. 28.
털발말똥가리(Rough-legged Buzzard )-아종 캄챠카털발말똥가리 2014년 12월 23일 경기도 화성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크기는 52cm~61cm이며 겨울새입니다. 시베리아 북부에서 번식하며 한국, 중국, 일본등지에서 겨울을 납니다. 2011년 1월 6일 경기도 시화호에서 촬영. 털발말똥가리와 함께 왔나 봅니다. 털발말똥가리 캄챠카털발말똥가리와는 멱.. 2014. 12. 24.
잿빛개구리매(Hen Harrier ) 2014년 12월 17일 경기도 화성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겨울새입니다. 시베리아,몽골, 중국, 유렵등지에서 번식하며 천연기념물 제323-6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시화호에서 자주 만났으나 수컷을 이렇게 가까이 만나기는 처음입니다. 가끔 코앞까지 날아오는 적도 있었으나 어찌나 .. 2014. 12. 17.
새홀리기(Eurasian Hobby ) 2014년 7월 5일 인천시 영종도에서 촬영. 매목 매과의 조류로 크기는 약 30cm 정도 입니다. 쇠제비갈매기들은 번식도 같은 곳에서하고, 사람들처럼 유아원이나 유치원 같은 곳은 번식한 곳 근처에서 모아놓고 기릅니다. 이 때도 새홀리기를 보았는데 수십마리의 쇠제비갈매기들이 공격하여 .. 2014. 7. 7.
새홀리기(Eurasian Hobby ) 2014년 6월 10일 경기도 파주에서 촬영. 매목 매과의 조류로 크기는 약 30cm 정도 입니다. 요즘 몇일째 집 베란다에서 요란하게 울니다. 조심조심 카메라를 들면 얼마나 예민한지 날아 가 버리곤 하지요.... 어제 뜸부기 찾으러 파주 공릉천에 갔다 뜸부기는 만나지 못하고 의외로 새홀리기를 .. 2014. 6. 11.
황조롱이(Common Kestrel ) 2014년 4월 23일 경기도 시흥에서 촬영. 매목 매과의 조류로 텃새입니다. 천연기념물 32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크기는 30cm~33cm입니다. 2014. 4. 23.
솔개 2014년 3월 5일 일본 북해도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아프리카,유럽,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등지에서 번식하며 한국에서는 겨울새입니다. 크기는 48cm~69cm정도로 큰 새이나 흰꼬리수리, 참수리와 같이 있을 때는 아주 작아 보입니다. 2014. 4. 16.
솔개(Black Kite ) 2014년 일본 북해도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아프리카,유럽,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등지에서 번식하며 한국에서는 겨울새입니다. 크기는 48cm~69cm정도로 큰 새이나 흰꼬리수리, 참수리와 같이 있을 때는 아주 작아 보입니다. 몽골과 인도여행 중에는 우리나라의 까치를 보는 것보.. 2014. 4. 3.
참수리(Stellers Sea Eagle) 2014년 2월 28일 일본 북해도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한국에서는 겨울새입니다. 여우도 생선을 좋아 하는지 참수리와 한판 승부를 겨루는 장면을 보았습니다. 결말은 여우의 승리..... 2014. 3. 14.
흰꼬리수리( White-tailed Sea Eagle ) 2014년 2~3월 일본 북해도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한국에서는 겨울새입니다. 잘못하면 목 부러지겠어요..... 2014. 3. 12.
흰꼬리수리( White-tailed Sea Eagle ) 2014년 2월 28일 일본 북해도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한국에서는 겨울새입니다. 때로는 무섭게 싸우기도 하지만 보통은 이렇게 다정합니다..... 2014. 3. 10.
흰꼬리수리( White-tailed Sea Eagle ) 2014년 1월 24일 강원도 강릉 경포호수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겨울새입니다. 크기는 80cm~94cm로 크며 천연기념물 제243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작은 오리종류들을 보고 있는데 갑자기 오리류가 모두 날아 오르고 곧 사냥에 실패한 흰꼬리수리가 코앞에 날아와 앉았습니다. 아직 어.. 2014. 1. 24.
황조롱이(Common Kestrel ) 2013년 12월 11일 격기도 화성에서 촬영. 매목 매과의 조류로 한국에서는 텃새이며 크기는 약 30~33cm정도입니다. 천연기념물 재323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요즘 탐조시에는 자주 만나는 새이지요. 2013. 12. 19.
말똥가리(영명 Common Buzzard ) 2013년 12월 5일 경기도 시화호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크기가 약55cm로 텃새입니다. 높은 산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평지로 내려와 지냅니다. 중국에서 불어 온 미세먼지가 하루종일 햇빛을 가려버린 하루였습니다. 2013. 12. 5.
잿빛개구리매(영명 Hen Harrier ) 2009년 11월 19일 경기도 시화호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크기는 약 40cm정도이며 시베리아 ,몽골, 중국, 유럽등지에 분포하며 겨울은 한국, 일본, 동남아시아에서 지내는 겨울새입니다. 천연기념물 제 323-6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시화호를 다니다 보면 자주 만나는 잿빛개구리매입.. 2013. 11. 9.
새매(영명 Eurasian Sparrowhawk ) 2009년 12월 8일 경기도 화성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텃새이며 천연기념물 제323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크기는 약 35cm정도인 맹금류입니다. (지나간 사진 정리합니다) 수컷 2010년 12월 16일 경기도 화성에서 촬영. 어린새 2011년 1월 5일 경기도 화성에서 촬영. 암컷 암컷 2011년 1월 11.. 2013. 11. 6.
큰말똥가리(영명 Upland Buzzard ) 2011년 1월 11일 경기도 시화호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몽골,티베트,중국북부 등지에서 번식하며 한국에서는 겨울새입니다. 흰눈이 내리던 날 가까이 만난 큰말똥가리입니다. 파란에 올렸던 사진 정리합니다. 2013. 11. 6.
말똥가리(영명Common Buzzard ) 2013년 10월 24일 경기도 시화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크기가 약55cm로 텃새입니다. 높은 산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평지로 내려와 지냅니다. 여름에 볼 수 없었던 녀석들이 보이니 반갑네요..... 2013. 10. 25.
붉은배새매(영명 Chinese Sparrowhawk ) 2013년 5월 22일 경기도 시화호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여름새입니다. 크기는 벙어리뻐꾸기와 같은 28cm이며 중국,한국등에서 번식하며 겨울은 동남아시아에서 지냅니다. 개구리,작은 새종류를 먹는다는데 오늘은 잠자리를 먹습니다. 2013. 5. 23.
말똥가리(영명 Common Buzzard) 2013년 4월 11일 경기도 시화호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우리나라에서는 텃새입니다. 크기는 약 55cm입니다. 자주 보았지만 이렇게 가까이 나는 모습을 보는 것은 처읍입니다. 2013. 4. 11.
Black-winged Kite 2013년 2월 26일 강서습지생태공원에서 촬영 매목 매과의 조류로 국내 미기록종입니다. 오늘은 쥐를 잡아가네요. 갈매기와 까치등쌀에 멀리 가 버립니다. 2013. 2. 27.
Black-winged Kite 2013년 2월 25일 서울 강서습지생태공원에서 촬영 매목 매과의 조류이며 크기는 작는 갈매기정도이며 아직 우리이름이 없는 국내 미기록종입니다. 어찌하여 홀로 이 곳에 왔는지 알 수 없지만 아무튼 즐거운 일 입니다. 며칠 째 기다렸으나 만나지 못하다가 오늘 하루종일 딱 한번 멀리서 .. 2013. 2. 25.
물수리 2012년 10월 31일 경기도에서 촬영. 매목 수리과의 조류로 나그네새입니다. 낚시꾼이 자동차에서 내려 훼방하기 전까지는 멋지게 식사를 합니다. 다행히 꼬리 끝부분만 먹지 못하였네요.... 2012. 11. 6.